어린이집 대기 시 시간제보육 생각해 볼 만한 가지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린이집마다 그리고 모집 반마다 TO(Table of Organization)가 생각보다 적습니다.
따라서 아이 출생신고를 하자마자 어린이집 대기를 바로 걸어 놓지 않으면 인기 있는 어린이집 들어가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이럴 때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시간제보육입니다.
어린이집 대기 시 시간제보육
시간제보육은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을 이용하지 않고 있는 가정 즉, 가정 보육을 하는 아이를 위해 만들어진 정부 정책입니다.
시간제보육을 하는 어린이집에서 보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간당 신청하여 이용할 수 있고 이용 시간에 대해서만 비용을 지불하면 됩니다.
정부 정책인 만큼 부모급여, 양육수당 등과 별개로 지원금이 있으니 한번 고려해 보시는 걸 추천해 드립니다.
시간제보육 대상
✓ 가정보육을 하는 6 ~ 36개월 미만 영아
어린이집,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의 기관에서 보육하고 있지 않는 아이는 시간제보육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아이의 개월 수에 따라 독립반, 통합반 등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독립반은 별도의 전담 교사가 채용되어 종일반 영유아와 분리된 공간에서 보육을 받는 반입니다.
통합반은 종일반 영유아와 같은 공간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반입니다.
어린이집 대기 중이시고 우리 아이가 어린이집 잘 적응할지 걱정이 될 때 이 정책을 이용하면 좋습니다.
물론 어린이집 다니고 있는 아이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원금을 받지 못합니다.
시간제보육 지원시간
✓ 월 60시간
시간제보육은 월 60시간 지원하고 있습니다. 초과하는 시간은 개인 부담해야 합니다.
시간제보육 운영시간
✓ 독립반 평일 09~18시
✓ 통합반 평일 09~16시
시간제보육은 평일(월요일 ~ 금요일)에만 운영이 되며 반에 따라서 종료되는 시간이 다릅니다.
독립반은 오후 6시까지 운영되고 통합반은 오후 4시까지 운영됩니다.
시간제보육 지원금액
✓ 정부지원 시간당 3천 원
시간제보육 이용금액은 시간당 5천 원입니다. 정부지원이 시간당 3천 원 지원되기 때문에 개인부담금은 시간당 2천 원입니다.
시간제보육 신청방법
✓ 시간제보육 아동등록 ► 시간제보육 신청(예약) ► 이용시간 결제
시간제보육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아동등록을 해야 합니다.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홈페이지(https://www.childcare.go.kr/)에 접속하여 어린이집 > 시간제보육사업 > 시간제보육 아동 등록을 통하여 시간제보육을 할 아이를 등록해야 합니다.
이용할 어린이집을 통해서도 직접 등록도 가능합니다.
구분 |
독립반 |
통합반 |
사전예약 |
14일 전(09:00) ~ 서비스 이용 1일전까지 |
14일 전(09:00) ~ 서비스 이용 2일전까지 |
당일예약 |
이용 당일 12시까지 |
불가 |
TO |
3명 |
반(개월 수)에 맞는 TO |
그 이후 시간제보육신청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앱 신청 가능)
시간제보육 신청 시 14일 후까지 오픈되기에 매일 예약할 필요 없이 최대 14일 기간을 연속 예약할 수 있습니다.
독립반의 경우 정규반 아이들과 따로 교육을 받습니다. 다만 0 ~ 36개월 아이 3명이 같이 수업을 받습니다.
통합반의 경우에는 정규반 아이들과 같이 수업을 받기에 연령별 반 TO(보통 1~2명)에 따라 개월 수에 맞는 반에 배정받습니다.
시간제보육 결제 방법
시간제보육 바우처(지원금)는 국민행복카드에 월 60시간 금액이 충전됩니다.
어린이집 이용 후 어린이집에서 결제 요청을 하게 되면 이용 기관에서 결제할 수도 있고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서도 결제할 수 있습니다.
결제 금액은 시간당 3천 원은 바우처에서 빠져나가고 나머지 이용료 2천 원에 대해서만 결제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반드시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하셔야 합니다.
시간제보육 장점
① 아이가 어린이집 적응이 걱정될 때
② 어린이집 대기 중이고 아이를 어딘가에는 맡겨야 할 때
③ 타지역에 있는 어린이집에서도 이용 가능
④ 보내고 싶은 어린이집이 시간제보육을 할 시 미리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체험 가능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건강의 모든 정보’의 게시글은 허용된 경우를 제외하고 불펌, 인용을 금지합니다.
☞ 메타사이트, 메타블로그의 RSS 도용 및 가져가기를 금지합니다.
☞ 페이지의 링크 혹은 트랙백은 허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