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8개월 아기 발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미국소아과학회(AA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에 따르면,생후 8개월 아기 발달 과정에서 대부분의 아기들은 네 발로 기기 시작합니다.
빠른 아기들은 생후 7개월에 네 발 기기를 하기도 하고, 늦는 아기들은 생후 10개월에 네 발로 기기를 시작합니다.
아이가 어떠한 방법으로 앞으로 나아간다면 발달의 지연으로 보지 않습니다. 생후 8개월 아기는 가구를 잡고 일어나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
매순간 노력하는 아이에게 응원을 해주세요. 응원과 함께 생후 8개월 발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후 8개월 아기 발달의 주요 특징
생후 8개월 아기 발달의 주요 특징은 미국소아과학회(AAP)와 의학 연구를 기반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지지없이 앉을 수 있습니다.
• 한 손으로 잡은 물건을 다른 손으로 쉽게 옮길 수 있습니다.
• 특정 사물에 애착이 생길 수 있습니다.
• 네 발기기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가구를 잡고 일어나려고 할 수 있습니다.
• 작은 물체에 관심을 가지고 엄지와 검지를 활용해 잡으려고 합니다.
• ‘엄마’, ‘다다’와 같은 말을 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사물을 향해 가르킬 수 있습니다.
• 활동이 증가하면서 몸무게 증가 속도가 떨어집니다.
• 겨드랑이에 손을 넣고 몸을 잡아주면 발을 구르면 뛰기도 합니다.
• 관심을 가진 물건이 사라지면 물건을 찾으려고 합니다.
• 화장지를 뽑고 찢 입으로 탐색하려고 합니다.
• 모방 능력이 생겨 간단한 행동을 따라합니다.
• 비언어적 행동(몸짓, 표정, 억양 등)을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 새로운 사람, 특히 또래를 뚫어지게 쳐다봅니다.
• 낯가림이 절정에 달해 애착 대상이 없어지면 분리불안을 느껴 웁니다.
생후 8개월 아기의 신체 발달
생후 8개월 아기 발달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여전히 신체적 성장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의 평균 신체 측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몸무게 | 키 |
남자 | 평균 8.6kg | 평균 70.6cm |
여자 | 평균 7.9kg | 평균 68.1cm |
생후 8개월 아기 신체 발달
생후 8개월 아기 발달과 자폐 증상
과거에는 자폐를 정신병의 일종으로 생각하였습니다. 그래서 부모의 잘못된 양육이 자폐를 유발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1987년 DSM-3-R로 개정되면서 자폐증에서 자폐성 장애로 변경하였습니다. 1994년에는 DSM-4로 개정되면서 처음으로 스펙트럼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그리고 2013년 DSM-5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즉, DSM-4까지는 자폐성 장애, 아스퍼거 증후군, 레트 증후군, 소아기 붕괴성 장애, 기타 분류되지 않은 장애로 구분하였지만 DSM-5부터는 하나의 연속선상(본질적으로 같은)에 있는 증상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이렇게 자폐 스펙트럼으로 구분하다 보니 주변에도 자폐 아이를 쉽게 접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제 주변에도 자폐성 장애를 가진 아이가 있습니다.
그런 영향이 있는지, 저도 아이를 낳고 키우면서 가장 걱정되는 게 내 아이가 자폐인지 아닌지가 정말 궁금하였습니다.
아래의 행동들이 생후 8개월까지 보이지 않는다면 무조건적인 것은 아니나 자폐 위험 신호로 인식하여 소아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 사회적 상호작용
1) 거의 웃지 않음
2) 눈맞춤이 없거나 제한적
3) 다른 사람의 얼굴에 대한 반응 적거나 예상치 못한 반응
4) 행동을 할 때 부모 얼굴을 다시 보는 행동을 안함
• 의사소통
1) 자신의 이름에 반응하지 않음
2) 소리와 단어를 따라하는 게 제한적
• 행동 관련
1) 손가락으로 가르키거나 손 흔들기 등의 제스처 부족
2) 까꿍 놀이에 관심이 없음
3) 안아주거나 만지는 걸 싫어함
4) 새로운 것에 대한 탐색이 적음
• 감각 반응
1) 큰 소리에 반응이 없거나 적음
2) 소리가 나는 방향을 찾지 못함
3) 일부 소리에 과도한 반응
미국소아과학회(AAP)에서는 개월별로 자폐 위험 신호를 구분하였습니다. 궁금하신분은 [자폐 증상 원인 치료제] 글을 참고해 주세요.
생후 8개월 아기 발달을 위한 놀이
생후 8개월 아기 발달을 위한 놀이 활동은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 권장하는 놀이들을 소개합니다.
• 까꿍 놀이
까꿍놀이는 여전히 아기 발달에 좋은 놀이입니다. 사회성 발달과 대상영속성을 이해하는데 좋습니다.
• 블럭 놀이
이 시기의 아기에게 블럭 쌓고 넘어뜨리는 놀이는 인지 발달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물건 주고 받기 놀이
물건 주고 받으면서 의사 소통 연습을 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사물 가르키기
이 시기의 아기는 원하는 사물을 향해 손가락을 가르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단한 행동 모방을 할 수 있으므로 사물을 가르키는 놀이를 해주면 전반적인 발달에 도움이 됩니다.
• 물건 숨겨서 찾기 놀이
이 놀이는 아기에게 대상영속석 개념을 발달시킬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킵니다.
이러한 놀이는 생후 8개월 아기 발달을 전반적으로 촉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후 8개월 아기의 치아
아기 치아 나는 시기는 빠르면 3개월 부터입니다. 보통은 4~7개월 사이에 아래 앞니(하악 중절치)가 먼저 납니다. 그 다음으로는 8~12개월 사이에 위 앞니(상악 중절치)가 납니다.
보통이 그렇다는 것이고 때로는 상악 중절치가 날때, 상악 측절치가 같이 보이기도 합니다. 아기마다 치아가 나는 시기가 다를 수 있으니 너무 걱정을 마시기 바랍니다.
아기 이빨 나는 시기에 이앓이를 합니다. 침을 흘리거나 얼굴에 발진이 생기거나 잇몸이 붓거나 합니다. 얼굴이나 귀를 비비거나 미열, 물어 뜯거나 수면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아기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증상을 보인다고 할 수 없습니다. 아기의 이앓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차갑게 만든 치발기를 물게 하는 방법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생후 8개월 아기의 주요 특징과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생후 8개월은 운동능력이 급격히 향상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아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돌아다닙니다. 네발기기를 하는 아기, 빨리 기어가는 아기, 굴러 가는 아기 등등 말입니다.
즉, 이제부터는 아기가 탐색을 위한 활동이 다양해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아기에게 위험한 물건이 없는지 아기 눈높이에서 생각하며 안전장치 구매를 고려해야 합니다.
전기 콘센트는 덮개로 가리고, 날카로운 모서리는 둥근 안전장치로 씌우고 가구는 벽에 고정해야 합니다. 서랍도 열지 못하게 막아두어야 합니다.
생후 8개월 아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이면서 걸을 수 있는 준비를 합니다. 근력에 비해 의지가 앞서가므로 넘어질 수 있습니다.
항상 눈을 떼지 말고 아이를 지켜보아야 합니다. 또한, 작은 물체에 관심을 가지고 입속에 넣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더 눈을 떼지 말아야 합니다.
생후 8개월 아기 육아템 추천
함께 읽으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