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치아 나는 시기, 치아 관리, 착색 등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기가 커가면서 유치가 나옵니다.
이 유치가 다시 빠져서 영구치가 나오는데 이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관리해야 튼튼한 영구치를 가질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기 이 나는 시기
미국치아의사협회(ADA, American Dental Association)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생후 6-8개월 사이에 첫 유치가 나고 생후 33개월까지 20개의 유치가 모두 납니다.
만 6세에 첫 영구치가 나오고 만 12-13세에 모든 유치가 영구치로 바뀝니다. 그리고 만 17세에 사랑니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사랑니는 만 25세까지 나오지 않으면 나올 확률이 낮습니다.
시기별 치아 나는 순서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아기 치아 나는 순서
유치 나는 순서
아기는 태어나면서 20개의 유치를 잇몸 속에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시기가 되면 유치가 나오는데요. 어떤 순서로 나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기 이빨 나는 순서 중 첫 치아는 아래턱 앞니가 먼저 나옵니다. 일명 토끼 이빨, 자일리톨이라고도 하는데요.
치아가 나오면 통증 때문에 아기는 짜증을 내기 시작합니다. 아래 치아 나는 순서입니다. 달래지지 않는 짜증을 낼 때 이빨이 나오면서 짜증을 내는 게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① 6-10개월 사이에 하악 중절치(아래턱 중앙 앞니, Central Incisor) 2개가 먼저 나옵니다. 일반적으로 왼쪽부터 나옵니다.
② 8-12개월 사이에 상악 중절치(위턱 중앙 앞니) 2개가 나옵니다.
③ 9-13개월 사이에 상악 측절치(위턱 측면 앞니, Lateral Incisor) 2개가 나옵니다.
④ 10-16개월 사이에 하악 측절치(아래턱 측면 앞니) 2개가 나옵니다.
⑤ 13-19개월 사이에 상악 제1유구치(위턱 첫 번째 어금니) 2개가 나옵니다.
⑥ 비슷한 시기에 하악 제1유구치(아래턱 첫 번째 어금니) 2개가 나옵니다.
⑦ 16-22개월 사이에 상악 유견치(위턱 송곳니) 2개가 나옵니다.
⑧ 17-23개월 사이에 하악 유견치(아래턱 송곳니) 2개가 나옵니다.
⑨ 23-31개월 사이에 하악 제2유구치(아래턱 두 번째 어금니) 2개가 나옵니다.
⑩ 25-33개월 사이에 상악 제2유구치(위턱 두 번째 어금니)가 나옵니다.
영구치 나는 순서
영구치는 유치를 대체하면서 나오기도 하고 새로운 위치에서 나오기도 합니다.
영구치가 유치를 대체할 때는 유치의 뿌리를 녹이면서 올라옵니다. 그래서 유치가 흔들리게 됩니다.
아래는 영구치 맹출 순서와 유치 빠지는 순서입니다.
- 6-7세
① 상악・하악 제1대구치(첫 번째 어금니) 4개가 유치를 대체하지 않고 새로운 자리에서 나옵니다.
② 하악 중절치(아래턱 중앙 앞니) 2개가 빠집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영구치가 나옵니다.
- 7-8세
① 상악 중절치(위턱 중앙 앞니) 유치 2개가 빠지면서 영구치가 맹출됩니다.
② 하악 측절치(아래턱 측면 앞니) 2개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옵니다.
- 8-9세
상악 측절치(위턱 측면 앞니) 2개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옵니다.
- 9-10세
하악 제1유구치(아래턱 첫 번째 어금니) 2개가 빠지고 하악 제1소구치가 맹출됩니다.
- 10-11세
① 상악 제1유구치(위턱 첫 번째 어금니) 2개가 빠지고 상악 제1소구치가 나옵니다.
② 하악 제2유구치(아래턱 두 번째 어금니) 2개가 빠지면서 하악 제2소구치가 나옵니다.
- 10-12세
① 하악 유견치 (아래턱 송곳니)2개가 빠지면서 하악 견치 2개가 맹출됩니다.
② 상악 제2유구치(위턱 두 번째 어금니) 2개가 빠지고 상악 제2소구치가 나옵니다.
- 11-12세
상악 유견치(위턱 송곳니) 2개가 빠지면서 상악 견치 2개가 맹출됩니다.
- 11-13세
① 11-13세 사이에 하악 제2대구치(아래턱 두 번째 어금니) 2개가 새로운 자리에서 나옵니다.
② 11-13세 사이에 상악 제2대구치(위턱 두 번째 어금니) 2개가 새로운 위치에서 맹출됩니다.
- 17-21세
제3대구치(사랑니)가 새로운 자리에서 나옵니다. 사랑니는 최대 4개가 맹출될 수 있습니다.
아기 치아 착색
아기 치아 착색되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선천적 포르피린증으로 인해 치아가 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고빌리루빈혈증에 의해서 아기 치아가 황색이나 녹색으로 변색될 수 있습니다.
임신성 고빌리루빈혈증은 임신으로 인한 증가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간의 담즙 운반 능력을 저하해서 주로 28주 이후에 발생합니다.
약물로 인한 치아 착색 위험도 있습니다. 임신 혹은 수유 중 테트라사이클린 성분의 의약품(항생제) 복용 시, 태반이나 모유를 통해 아기 치아를 회색이나 갈색으로 변색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임신 말기의 의약품 복용은 주의해야 합니다.
테트라사이클린 성분은 영구적 치아 변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12세 미만 소아, 임신부,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수유부에게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 외 얼굴 부위의 외상이나 유치에 생기는 충치로 인해서 변색된 영구치가 맹출될 수 있습니다.
아기 치아 관리
아기 치아 관리 방법을 시기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
- 0-6 개월
① 젖병을 물린채 아기를 재우지 않습니다.
② 수유 후 깨끗한 거즈나 부드러운 천으로 잇몸을 닦아줍니다.
③ 모유 수유를 권장합니다. 모유는 충치 위험을 50% 감소시킵니다.
- 6-12개월
① 하루 2회 이상 양치합니다.
②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합니다.
③ 취침 전 양치는 필수로 해야합니다.
④ 불소 농도가 1000-1500ppm 치약을 사용합니다.
⑤ 쌀알 크기(0.1mg)만큼 치약을 사용합니다.
⑥ 치약을 삼키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⑦ 아기가 직접 칫솔질을 하되 부모가 꼼꼼히 해줘야 합니다.
- 12-24개월
① 6-12개월 치아 관리 방법대로 하되 충치 위험도 평가를 시작합니다.
② 첫 불소 바니쉬 도포를 합니다.
- 2-4세
① 하루 2회 이상, 2분간 양치합니다.
② 6-24개월 치아 관리처럼 하되 양치 후 뱉어내기 연습을 해야합니다.
③ 6개월마다 치과에 가서 불소 도포 받기를 권장합니다.
④ 3세부터 완두콩 크기(0.25mg)만큼 치약을 사용합니다.
- 4-6세
① 2-4세 치아 관리처럼 하되 스스로 양치 가능하도록 교육시켜야합니다.
② 위험군에 따라 3~12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도록 합니다. (저위험군 12개월, 중등도 위험군 6개월, 고위험군 3개월)
- 6-8세
① 영구치 맹출 시기로 하루 3회, 3분간 양치합니다.
② 치실도 같이 사용하도록 합니다.
③ 8세까지 부모가 칫솔질을 도와줘야 합니다.
- 9-12세
① 9세부터는 독립적으로 칫솔질이 가능합니다.
② 성인용 치약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기 치아 우식증
우식증은 다른 말로 충치입니다. 즉, 음식 섭취로 인해 구강 내 세균이 증식하면서 산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산이 치아의 법랑질, 상아질을 손상시킵니다. 아기들의 치아(유치)는 영구치에 비해 법랑질이 얇아 충치에 취약합니다.
법랑질 손상 시에는 통증의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충치가 더 진행되어 상아질까지 손상된다면 찬 것에 이가 시리고 단맛에 민감해집니다.
충치로 인해 치수까지 손상이 된다면 자극이 없어도 통증이 있고 발열, 구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기 치아(유치)가 맹출 될 때부터 첫 치과 검진을 받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불소치약으로 양치해야 합니다.
이 시기에 치약을 뱉지 못하기 때문에 불소치약 사용에 거부감이 있으신 부모님들이 있으실 겁니다.
하지만 쌀알 크기만큼의 불소치약 사용은 인체에 해가 되지 않는 정도이기 때문에 미국치과의사협회(ADA), 미국소아과학회(AAP), 미국소아치과학회(AAPD) 모두 불소 치약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아기 치아 나는 시기, 치아 관리법, 치아우식증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첫 유치부터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아기 치아를 잘 관리하여 튼튼한 치아를 가지게 도움을 주시길 바랍니다.
치아가 나는 시기가 보통 6개월이므로 생후 6개월 아기 발달도 같이 참조하시면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