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국민행복카드로 받을 수 있는 모든 혜택을 총정리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정부의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합카드입니다.
임신부터 출산, 육아까지 단계별로 받을 수 있는 지원금과 사용 방법을 쉽게 확인하세요.
이 글을 읽는 분이시라면 국가바우처를 지원받기위해 검색해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는 임신을 하여 국민행복카드를 처음 발급받았습니다.
임신을 하셔서 처음 발급 받으시려고 한다면 인생의 축복인 임신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국민행복카드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하였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국민행복카드란?
국민행복카드는 임신・출산, 보육료, 노인・장애인 지원 등 다양한 국가바우처를 하나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복지카드입니다.
2025년 기준 5개 카드사(BC카드*, 롯데카드, KB국민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와 18개 금융기관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 BC카드의 경우, 부산은행, 대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제주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우체국, NH농협, 우리은행, 수협은행, 신협은행 등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카드는 세 가지 형태로 발급됩니다.
- 신용카드 : 만 19세 이상, 신용등급 조건 충족 시 발급
- 체크카드 : 만 14세 이상, 본인 명의 은행계좌 보유 시 발급
- 전용카드 : 신용・체크카드 발급이 어려운 경우 발급
중요한 점은 카드 발급과 바우처 서비스 신청이 별도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카드를 발급받은 후 자격 조건에 해당하는 바우처를 추가로 신청해야 실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발급 조건
국민행복카드는 연령과 신용상태에 따라 신용카드, 체크카드, 전용카드로 구분됩니다. 2025년 기준 발급 조건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신용카드
- 발급 대상 : 만 19세 이상
- 발급 기관 : BC카드, 롯데카드, KB국민카드(KB국민은행, 전북은행), 신한카드(신한은행), 삼성카드
- 필요 서류 : 신분증, 자격확인서류(해당하는 경우)
- 특이사항 : 신용등급에 따라 발급이 제한될 수 있음
위 내용 중 자격확인서류는 신청하고자하는 바우처 서비스에 따라 필요 서류가 다릅니다.
단순히 국민행복카드만 발급받을 경우는 신분증만 있으면 되지만, 바우처 신청과 같이 하는 경우, 신청한 바우처에 따라 자격확인서류는 신청하는 바우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체크카드
- 발급 대상 : 만 14세 이상 ~ 만 19세 미만
- 발급 기관 : 시중은행 및 5개 카드사
- 필수 조건 : 본인 명의 은행계좌 보유
전용카드
- 발급 대상 : 신용・체크카드 발급이 어려운 경우
- 발급 기관 : 관할 행복복지센터(한국사회보장정보원 발급)
전용카드의 경우에는 만 14세 미만, 75세 이상, 장애인활동지원 중 지적・자폐성 장애, 지역사회서비스 중 정신건강 토텔케어, 장애인・노인돌봄여행, 치매환자가족여행 서비스 이용자가 발급 받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이용 바우처
국민행복카드로 이용 가능한 바우처 서비스를 생애주기별로 정리했습니다.
임신・출산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이용가능한 임신・출산 지원 서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1. 임신・출산 진료비
- 단태아 : 100만원
- 다태아 : 태아당 100만원
- 신청 :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또는 홈페이지
신청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방문
- 공단 홈페이지 신청 :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 보험급여 > 임신/출산 진료비
- 정부24 홈페이지 신청 : 원스톱서비스 > 맘편한임신 서비스지원 > 맘편한임신 온라인 통합처리신청
2025년부터 분만취약지 거주자의 경우에는 추가 지원됩니다. 분만취약지와 지원금액, 조건 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 지원금액 : 20만원
- 지원조건 : 분만취약지 30일 이상 연속 거주
당연한 이야기지만, 분만취약지에 주민등록 주소를 두고 30일 이상 연속 거주해야 추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인천 : 강화군, 옹진군
- 경기 : 연천군, 가평균, 양평균
- 강원 : 홍천군, 인제군, 정선군, 평창군, 화천군
- 충북 : 보은군, 괴산군, 단양군
- 전북 :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 전남 : 보성군, 완도군, 진도군, 신안군
- 대구 : 군위군
- 경북 :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봉화군, 울릉군
- 경남 : 의령군, 남해군, 합천군
2025년 1월 1일부터는 다태아 임신・출산에 추가적인 혜택이 주어집니다.
임신 20주 이상(유산/사산 제외)이 되면 추가 지원 신청을 통해 추가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 쌍둥이 이상 : 60만원 추가 지원
- 삼태아 이상 : (태아의 수 – 2) x 100만원
2. 첫만남이용권
2025년 첫만남이용권은 출생 순위에 따라 차등 지원되는 제도입니다.
첫째아는 200만원, 둘째아 이상은 3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어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줍니다.
기본 지원금액
- 첫째아 : 200만원
- 둘째아 이상 : 300만원
다태아 지원금액
다태아의 경우 출생 순위에 따라 각각 지원됩니다.
- 첫째 포함 쌍둥이 : 500만원(첫째아 200만원 + 둘째아 300만원)
- 둘째 이상 쌍둥이 : 600만원(둘째아 300만원 + 셋째아 300만원)
신청 방법
- 방문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 온라인 : 복지로, 정부24
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부터는 출생일(주민등록상 생년월일)로부터 2년 이내 신청하고 사용해야 합니다.
미사용 금액은 기간 종료 후 자동 소멸되므로, 출생 후 최대한 빨리 신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만 19세 이하 산모를 위한 특별 지원 제도입니다.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100만원)과는 별도로 120만원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이나 재산 기준에 관계없이 지원받을 수 있어 청소년 산모의 의료비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
지원 대상
- 임신확인서 상 임신확인일 기준 만 19세 이하 산모
- 소득・재산 기준 없음
지원 내용
- 임신 1회당 120만원
- 임신・출산 진료비와 별도 지원
- 다태아의 경우에도 120만원 정액 지
청소년 산모의 임신・출산 의료비는 임신 1회당 120만원이 정액 지원됩니다.
이는 다태아를 임신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120만원을 1회 받을 수 있습니다.
즉, 태아 수에 따른 추가 지원없이 임신 1회당 1회만 받을 수 있는 지원 제도입니다.
신청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임신・출산 진료비를 신청 시,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사업 신청에 동의하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연계됩니다.
영유아 양육 지원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영유아 양육 지원 혜택입니다.
1. 보육료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어린이집 보육료가 자동 결제됩니다.
- 지원 대상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 ~ 5세 아동
- 지원 금액 : 최대 월 54만원
- 신청 : 복지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5세 아동은 보육료를,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아동은 유아학비를 신청해야 합니다.
보육료, 유아학비, 가정양육수당은 중복 지원이 불가하며, 보육료 지원금액이 가정양육수당보다 더 많습니다.
보육료는 반드시 어린이집 입소 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매월 1~15일 사이에 신청하면 다음 달부터, 16일 이후 신청하면 2개월 뒤부터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육료는 아동의 연령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다르며, 자세한 금액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만 0세반 : 월 54만원
- 만 1세반 : 월 47만 5천원
- 만 2세반 : 월 39만 4천원
- 만 3~5세반 : 월 28만원
보육료는 월별 출석일수에 따라 지원금액이 달라집니다. 월 11일 이상 출석하면 100%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출석일수가 적을수록 지원금액이 줄어듭니다.
- 월 11일 이상 출석 : 100% 지원
- 월 6 ~ 10일 출석 : 50% 지원
- 월 1 ~ 5일 출석 : 25% 지원
2. 유아학비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유치원 학비가 자동 결제됩니다. 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를 위한 교육비 지원 제도입니다.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유아가 지원받을 수 있으며, 국공립과 사립 유치원의 지원금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방과후 과정을 이용하는 경우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크게 줄여줍니다.
- 대상 : 유치원을 이용하는 만 3 ~ 5세 아동
- 지원금액 : 월 10만원(국공립), 월 28만원(사립)
- 신청방법 :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
3.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구매 가능한 기저귀・조제분유 지원서비스입니다. 2025년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는 저소득층 영아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복지 정책입니다.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대상 : 만 24개월 이하 저소득층
- 기저귀 : 월 9만원
- 조제분유 : 월 11만원
- 신청방법 : 복지로, 정부24
이 바우처의 지원 기간은 영아의 출생일을 시작으로 만 24개월이 되는 날까지입니다.
이때, 신청 시기가 매우 중요한데요. 출생 후 60일 이내에 신청하시면 24개월 동안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60일이 지난 후에 신청하시면, 신청하신 날짜를 기준으로 만 24개월까지 남은 기간에 대해서만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최대한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출생 후 60일 이내에 신청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출생 직후에 정신이 없어 신청을 놓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점 유의하셔서 바로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돌봄 서비스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이용할 수 있는 돌봄 서비스입니다.
1. 아이돌봄 서비스
아이돌봄 서비스는 국민행복카드로 결제됩니다. 2025년 아이돌봄 서비스는 가정의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아이돌봄 홈페이지에 가입해 있어야합니다.
그리고 서비스 신청 시, 아이돌봄 홈페이지 가입자 명의, 서비스 신청 명의, 국민행복카드 명의자는 반드시 동일해야 합니다.
신청 방법
- 방문 : 주민센터
- 온라인 : 복지로
- 필수서류 : 신분증, 건강보험자격확인서, 양육공백증빙서류
양육공뱅증빙서류는 맞벌이의 경우는 취업증빙 서류, 한부모 가정은 한부모가족증명서, 장애부모 가정은 장애인등록증이 필요합니다.
지원 대상
-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200% 이하 가정
- 가구 기준 : 맞벌이, 한부모, 다자녀 등
소득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자부담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돌봄 서비스는 시간제, 영아종일제, 전염성 질병감염아동 지원으로 총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1. 시간제 서비스(일반형)
시간제 서비스는 생후 3개월부터 만 12세 아동을 대상으로 합니다.
- 이용 대상 : 생후 3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
- 이용 요금 : 시간당 12,180원(일반형), 15,830원(종합형)
생후 3개월 미만도 서비스 이용이 필요할 시에는 이용자, 아이돌보미, 서비스제공기관 모두 협의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음에 이용자 가정의 동의 및 서명이 있으면 이용 가능합니다.
이용요금이 시간당 12,180(일반형), 15,830원(종합형)원인데요. 일반형과 종합형을 구분하는 기준은 아동 관련 가사를 하느냐 안하느냐 차이입니다.
일반형과 종합형의 소득 구간별로 본인부담금에 대해서 말쓰드리겠습니다.
중위소득 (4인 가족 기준) | 본인부담금 |
18. 1. 1 이후 출생 | 17. 12. 31 이후 출생 |
75% 이하 | 1,826원 | 3,044원 |
120% 이하 | 4,872원 | 7,308원 |
150% 이하 | 8,526월 | 9,744원 |
200% 이하 | 10,352원 | 10,962원 |
소득 구간별 시간제 서비스(일반형) 본인부담금
중위소득 (4인 가족 기준) | 본인부담금 |
18. 1. 1 이후 출생 | 17. 12. 31 이후 출생 |
75% 이하 | 5,476원 | 6,695원 |
120% 이하 | 8,522원 | 10,958원 |
150% 이하 | 12,176월 | 12,394원 |
200% 이하 | 14,002원 | 14,612원 |
소득 구간별 시간제 서비스(종합형) 본인부담금
형제자매 동시돌봄 시, 추가 아동당 할인이 적용됩니다. 단, 다수의 아이돌보미가 돌보고 있다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동시돌봄 아동 2명 : 25% 감액
- 동시돌봄 아동 3명 : 33.3% 감액
- 동시돌봄 아동 4명 : 36.5% 감액
- 동시돌봄 아동 5명 : 40% 감
한부모・조손가정・장애인・청소년부모 가정은 중위소득 75% 이하일 경우에만 5% 추가 지원됩니다.
다자녀의 경우에는 중위소득 150% 이하라면 10% 추가 할인이 됩니다.
시간제 서비스는 일반 시간제, 긴급돌봄으로 구분되어 지는데요. 각 서비스별로 최소 이용 시간과 신청 시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① 일반 시간제 서비스
- 필수 이용 시간 : 1회 2시간 이상
- 신청 시간 : 최소 4시간 전
- 추가 이용 : 30분 단위로 가능
일반 시간제 서비스는 최대 5일 전부터 신청이 가능하고 서비스 시작 전 최소 4시간 전에는 신청하셔야 합니다.
신청 후 3시간 이내에 수락한 돌보미가 없으면 자동으로 신청이 취소됩니다.
야간(오후 10시~오전 6시) 시간대에는 서비스 이용 요금이 기본요금의 50%가 할증됩니다.
그리고 야간 시간대에는 돌보미 휴식을 위해 서비스 신청 자체가 안되니 그 시간대를 피해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② 긴급돌봄 서비스
- 필수 이용 시간 : 1회 2시간 이상
- 신청 시간 : 최소 2시간 전
- 추가 이용 : 30분 단위로 가능
- 건당 3,000원 추가금 발생
일반 시간제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최대 5일 전부터 신청이 가능하고 서비스 시작 전 최소 2시간 전에 신청해주셔야 합니다.
예상치 못한 야근이나 출장 등으로 발생하는 맞벌이 가구의 양육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나온 서비스인만큼 긴급돌봄 서비스 이용 시에는 건당 3,000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기존의 단시간돌봄 서비스는 2025년부터 서비스 종료되었습니다.
1-2. 영아종일제
영아종일제 서비스는 생후 3개월부터 만 36개월 아동을 대상으로 합니다.
- 이용 대상 : 생후 3개월 이상 ~ 만 36개월 이하
- 이용 금액 : 시간당 12,180원
영아종일제 서비스도 생후 3개월 미만 이용하고 싶을 때에는 이용자, 아이돌보미, 서비스제공기관 모두의 협의가 필요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음에 대한 이용자 가정의 동의 및 서명이 있으면 가능합니다.
영야종일제 또한, 소득 구간별 이용금액이 시간제 서비스(일반형)과 동일합니다. 위의 글을 참조해주세요.
또한, 종일제 서비스를 이용하면 양육수당, 부모급여는 자동으로 지원 중지됩니다.
1-3. 전염성 질병감염아동 지원서비스
질병감염아동 지원서비스는 법정 전염성 및 유행성 질병 감염 아동에게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 이용 대상 : 만 12세 이하의 시설 이용 아동
- 이용 금액 : 시간당 7,305원
이 서비스의 기본 이용금액은 14,610원입니다. 다만, 기준중위소득 120% 초과(18. 1. 1 이후 출생 아동이 있는 4인가족 기준)의 경우에 정부지원 50%를 받기에 서비스 이용금액은 시간당 7,305원입니다.
소득구간별 본인부담금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중위소득 (4인가족 기준) | 본인부담금 |
18. 1. 1 이후 출생 | 17. 12. 31 이전 출생 |
75% 이하 | 2,191원 | 3,652원 |
150% 이하 | 5,844원 | 7,305원 |
150% 초과 | 7,305원 | 7,305원 |
소득별 질병감염아동 지원서비스 본인부담금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서류 2가지를 반드시 제출해야합니다.
- 필수 서류 1 : 의사진단서 또는 처방전 1부
- 필수 서류 2 : 보육시설, 유치원 학교 미이용확인서 또는 결석 확인서 1부
서비스 이용시, 전염성 질병아동의 병원 이용 동행과 집에서의 돌봄 서비스는 가능하나 병원 내 돌봄은 불가능하니 이점 참고해주세요.
2.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국민행복카드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는 출산 가정의 건강한 시작을 지원하는 복지 서비스입니다.
지원 대상
출산 가정이라면 이 바우처에 대해 관심이 있으실 건데요. 아래의 대상자 조건에 모두 속한다면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국내 주민등록이나 외국인 등록된 출산 가정
부부 모두가 외국인이라면,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 비자 소지자만 가능합니다.
지원 내용
이 서비스는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입니다.
- 산모 건강관리(유방관리, 체조지원 등)
- 신생아 건강관리(목욕, 수유지원 등)
- 산모 식사준비
- 산모・신생아 세탁물 관리 및 청소
서비스 시간은 평일 09:00 ~ 18:00 입니다.(휴게시간 1시간 포함)
지원 기간
태아 유형, 출산 순위, 서비스기간 선택(표준형, 단축형, 연장형) 등에 따라 지원 기간이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를 참조해 주세요.
- 단태아 5~20일
- 쌍태아 10~20일
- 삼태아 이상 15~40일
원칙적으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바우처 유효기간은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입니다.
바우처 잔량이 있어도 유효기간이 경과시에는 소멸되오니 유효기간을 잘 생각하시어 서비스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에도 바우처의 유효기간은 60일 입니다.
단, 출산일로부터 180일, 출산예정이로부터 60일 중 늦은 날짜가 경과하면 바우처는 소멸됩니다.
신청 기간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신청 기간 및 사용 기간이 중요합니다.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 미숙아・선천성 이상아 출산의 경우,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
- 임신 16주 경과 유산・사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가능하며, 미숙아・선천성 이상아의 출산의 경우에는 병원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로 신청가능합니다.
만 4개월(임신 16주) 넘은 아이를 유산・사산한 경우에는 의사소견서나 확인서를 첨부하여 30일 이내 신청하시면 됩니다.
3. 가사・간병방문지원
국민행복카드로 가사・간병방문지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전문 인력이 제공하는 체계적인 돌봄 서비스를 통해 일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 만 65세 미만 기준중위소득 70% 이하 중 가사・간병 서비스가 필요한 자
가사・간병 서비스가 필요한 자는 아래 6가지로 구분합니다.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 6개월 이상 치료를 요하는 중증질환자
- 희귀난치성 질환자
- 소년소년가장, 조손가정, 한부모가정
- 만 65세 미만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
- 기타 시・군・구청장이 예산의 범위내에서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 장기치료자 등 가사・간병 서비스기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지원 내용
이 서비스는 바우처(이용권) 사용 결정일로부터 1년간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1년 단위로 재판정을 받고 다시 1년간의 사용을 승인받아야 합니다.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는 연장이 불가합니다. (최초 1년만 이용 가능)
① 신체수발(세면・식사・옷 갈아입고 보조)
② 일상생활(외출 동행, 말벗 서비스, 생활상담)
③ 가사(청소, 식사준비, 세탁)
서비스 시간 | 수급자/차상위계층 | 일반 |
월 24시간 | 면제 | 월 24,770원 |
월 27시간 | 월 13,930원 | 월 27,860원 |
월 40시간 | 의료급여수급자 중 장기입원 사례관리 퇴원자만 무료로 이용 가능 |
가사・간병방문지원 본인부담금
신청 방법
신청은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에서만 신청 가능합니다. 신청기간은 기본적으로 연중 아무때나 가능하나, 지자체별로 별도의 신청 기간을 정하는 곳도 있으니 관할 주민센터로 반드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장애인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지원받을 수 있는 장애인 서비스입니다.
1. 활동지원 서비스
신체적・정신적 사유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장애인에게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가족의 부담을 줄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입니다.
지원 대상
- 만 6세 이상 ~ 만 65세 미만의 등록 장애인
- 장애인복지법 상 서비스 지원 종합점수 42점 이상
지원 내용
총 5가지 항목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신체활동 : 목욕 도움, 세면 도움, 식사 도움, 실내이동 등
- 가사활동 : 청소 및 주변정돈, 세탁, 취사 등
- 사회활동 : 등하교 및 출퇴근 보조지원, 외출 동행 등
- 방문목욕 : 가정방문 목욕 제공
- 방문간호 : 간호, 진료, 요양상담, 구강위생 등
장애인복지법 상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결과에 따라 산출된 종합점수로 지원 받을 수 있는 월 한도액이 정해집니다.(기본 지원금액)
구간 | 종합점수 | 월 한도액 |
1구간 | 465점 이상 | 7,754,000원 |
2구간 | 435 ~ 464점 | 7,269,000원 |
3구간 | 405 ~ 434 점 | 6,785,000원 |
4구간 | 375 ~ 404점 | 6,301,000원 |
5구간 | 345 ~ 374점 | 5,816,000원 |
6구간 | 315 ~ 344점 | 5,332,000원 |
7구간 | 285 ~ 314점 | 4,845,000원 |
8구간 | 255 ~ 284점 | 4,362,000원 |
9구간 | 225 ~ 254점 | 3,878,000원 |
10구간 | 195 ~ 224점 | 3,393,000원 |
11구간 | 165 ~ 194점 | 2,909,000원 |
12구간 | 135 ~ 164점 | 2,424,000원 |
13구간 | 105 ~ 134점 | 1,940,000원 |
14구간 | 75 ~ 104점 | 1,456,000원 |
15구간 | 42 ~ 74점 | 971,000원 |
특례 | 기존 수급자 중 구간외 (42점 미만) | 762,000원 |
종합점수에 따른 월 지원 금액
위의 기본 지원금액 외 특별 지원금액이 존재합니다. 출산(유・사산 포함), 자립준비, 보호자 일시부재에 따라 월 한도액이 증량됩니다.
이 바우처는 서비스 신청 후에 소득별 본인부담금을 납부를 해야 바우처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구분 | 지급기간 | 월 한도액 |
출산 | 특별지원 개시일부터 180일이 포함된 달의 말일까지 | 1,294,000원 |
자립준비 | 325,000원 |
보호자 일시부재 | 결혼(1개월) 사망(1개월) 천재지변(1개월) 출산(3개월) 입원(최대 6개월) | 325,000원 |
장애인지원 특별지원금
출산, 자립준비는 사유발생일로부터 6개월 이내, 보호자 일시부재는 사유발생일로부터 7일 이내에 신청하셔야하고, 월 한도액은 이월되지 않으니 해당 월 내에 바우처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호자 일시부재 중 입원은 5일 이상인 달에 대해서 1개월 단위로 최대 6개월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방문 : 주소지 관활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전국지사
- 온라인 : 복지로
- 필요서류 : 건강보험증 사본, 본인 명의 통장사본
바우처 신청 시, 국민행복카드를 발급신청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국민행복카드 개인정보 제공동의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발달재활 서비스
성장기 장애아동의 발달 촉진과 장애 악화 방지를 위해서 지원하는 정부 지원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서비스나 영유아발달지원 서비스와 중복 지원이 불가합니다.
지원 대상
2025년 기준으로 장애등록 아동과 장애가 예견되는 미등록된 아동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24년의 경우에는 미등록된 아동이 지원받을 수 있는 나이가 만 6세였는데, 올해 만 9세로 확대되었습니다.
① 장애등록 아동
- 만 18세 미만 장애등록 아동
- 장애유형 : 뇌병변, 지적, 자폐성, 청각, 언어, 시각 장애
-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서비스 받을 아동이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에 재학 중인(휴학생 제외) 경우에는 만 20세가 되는 달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단, 만 20세가 되기 전 졸업을 하면 졸업하는 달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재학증명서 필요)
② 장애 미등록 아동
- 만 9세 미만의 발달장애가 우려되는 아동(발달지연, 발달경계)
- 의사진단서 및 검사자료 필요
지원 내용
소득별로 차등 지원됩니다. 서비스 이용 전 본인부담금을 서비스 제공기관에 계좌이체를 통해 납부해야합니다.
본인부담금을 납부하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하면 부당거래로 간주하므로 유의하셔야 합니다.
또한, 현금으로 결제를하면 영수증을 필히 받으시고 보관하시길 바랍니다.
중위소득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기초생활수급자 | 22만원 | 면제 |
차상위계층 | 20만원 | 2만원 |
65% 이하 | 18만원 | 4만원 |
120% 이하 | 16만원 | 6만원 |
180% 이하 | 14만원 | 8만원 |
발달재활서비스 지원금액
총 5가지(발달기초, 언어, 인지, 정서・사회성, 부모상담) 영역으로 나눠서 교육・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횟수 | 시간 |
발달기초 | – 기본적 대근육・소근육 운동기술 촉진 | 월 4회(주 1회) | 회당 60분 |
언어발달 | – 의사소통 기능 및 어휘 발달 촉진 – 기본적 한국어 문장 구조 발달 촉진 – 가족 및 또래와의 의사소통 기술 촉진 |
인지영역 | – 감각 운동에 기초한 인지 발달 촉진 |
정서・사회성 | – 기본적인 정서표현 촉진 – 가족・타인과의 사회적 활동 촉진 |
부모상담 | – 부모교육 및 상담 실시 | 월1회 / 최소 10분이상 |
발달재활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신청 방법
매달 10일 이전 신청 시 당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고 10일 이후에 신청하면 다음 달부터 이용 가능합니다.
매년 반기별(연 2회) 소득 재판정을 실시하고 장애 미등록 아동의 경우에는 6개월마다 의사진단서 또는 검사결과지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3. 언어발달 지원
장애를 가진 부모와 비장애인 자녀에게 필요한 언어발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고, 아동의 건강한 언어발달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지원 대상
- 만 12세 미만 비장애 아동
- 부모 및 조손가정 중 1명 이상이 6가지 장애 영역 중 등록장애인
- 중위소득 120% 이하
이 서비스의 지원을 받으려면 부모 중 1명 이상이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장애 영역 중 하나의 장애 등록이 있어야 합니다.
지원 내용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다릅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중위소득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기초생활수급자 | 22만원 | 면제 |
차상위계층 | 20만원 | 2만원 |
65% 이하 | 18만원 | 4만원 |
120% 이하 | 16만원 | 6만원 |
언어발달 서비스 본인부담금
서비스 제공기관은 관활지 주민센터으로 전화하거나 사회서비스바우처 홈페이지를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사회서비스바우처 > 지역별정보 > 서비스기관 검색 >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 안내
신청 방법
이 서비스는 방문해서 신청해야 합니다. 방문 시, 신분증과 소득증명 자료를 지참하셔서 방문해주세요.
4.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부모님들은 지속되는 돌봄으로 인해 신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로까지 겪게 됩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전문 상담사와의 체계적인 심라상담을 통해 부모님의 심리・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더 나아가 가족 전체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
- 지적・자폐성 장애인으로 등록된 자녀의 부모 및 보호자
이 서비스는 발달장애인 부모가 동시에 지원 가능합니다.
그리고 부모가 발달장애인과 생계주거를 함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발달장애인과 거주를 같이하며 부모 대신하여 돌보는 보호자(2촌 이내)도 이용 가능합니다.
또한, 자녀가 만 6세 미만이고 장애등록을 아직 하지 않은 경우, 발달장애가 의심된다는 발달재활서비스 의뢰서 또는 6개월 이내 발행된 의사소견서를 제출시에 신청 가능합니다.
지원 내용
- 1년간 월 16만원 지원
- 본인부담금 4천원 ~ 4만원
- 상담 1회당 50~100분, 월 3~4회 이상
기본적으로 1년(12개월) 간 월 16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이 되는 경우에는 1회(최대 12개월)에 한하여 연장이 가능합니다.
신청 방법
관할 주민센터로 신청 후 바우처 포인트를 받으면 서비스 제공기관과 게약 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시, 반드시 본인부담금을 카드 결제, 계좌 입금으로 해야합니다.
본인부담금 미결제 시에는 본인부담금 납부할때까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5.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발달장애인의 의미 있는 삶은 낮 시간의 질적인 활동에서 시작됩니다.
개인의 관심사와 욕구를 반영한 지역사회 활동 참여는 단순한 시간 보내기가 아닌, 자립역량 강화와 사회적 관계망 확장의 기회가 됩니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은 지역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서 더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 만 18세 이상 ~ 만 65세 미만 지적・자폐성 장애인
이 서비스는 장애인 당사자 및 가구의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원 내용
서비스 유형은 2가지로 구분됩니다. 기본형과 확장형으로 구분되는데 이용자의 욕구와 생활실태를 고려하여 지자체가 서비스 유형을 결정합니다.
5-1. 기본형
- 월 132시간 (하루 평균 6시간)
- 활동 지원 시간 차감 없음
5-2. 확장형
- 월 176시간 (하루 평균 8시간)
- 활동 지원 시간 월 22시간 차
6.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방과후활동서비스
청소년기 발달장애인에게 방과후 시간은 단순한 돌봄을 넘어 성장의 기회가 되어야 합니다.
방과후활동서비스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또래와 어울리며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기고, 성인기 자립을 위한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부모님들이 자녀 돌봄의 부담에서 벗어나 직장생활과 자기계발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지원 대상
- 만 6세 이상 ~ 만 18세 미만 지적・자폐성 장애인
만 18세 이상의 재학생의 경우에는 방과후활동서비스와 주간활동서비스 중 한 가지를 택해서 이용가능합니다.(중복이용 불가)
온종일교실, 청소년 방과후 아카데미, 장애인 거주시설 이용자는 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지원 내용
- 월 66시간(월요일 ~ 토요일, 일요일・공휴일 제외)
- 이용 가능 시간 : 09 ~ 21시, 일 최대 9시간 이용
서비스 제공기관에서 취미・여가, 자립준비, 관람・체험, 자조 활동 등 이용자의 욕구 및 상황을 고려하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타 복지 서비스
국민행복카드로 이용 가능한 기타 복지 서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1. 에너지 바우처
국민행복카드로 에너지 구매가 가능합니다. 에너지바우처는 취약계층이 더위와 추위로부터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냉・난방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전기, 가스 등 다양한 에너지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요금 자동차감 방식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건강하고 따뜻한 일상생활을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대상
가족 중에 기초생활보장급여 수급자가 있어야하고 수급자 본인 또는 주민등록표상의 세대원이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 65세 이상
- 등록 장애인
- 7세 이하 영유아
- 임신 중이거나 출산 후 6개월 미만 여성
- 중증질환자
- 희귀질환자
- 한부모가족
- 소년소녀가
지원 내용
하절기, 동절기별 지원하는 내용에 차이가 있습니다.
① 하절기(7 ~ 9월)
하절기에는 전기요금만 차감 가능합니다.
② 동절기(10 ~ 다음해 5월)
동절기에는 도시가스, 전기, 지역난방, 등유, 연탄, LPG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원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구분 | 1인 세대 | 2인 세대 | 3인 세대 | 4인 세대 이상 |
하절기 | 55,700원 | 73,800원 | 90,800원 | 117,000원 |
동절기 | 254,500원 | 348,700원 | 456,900원 | 599,300원 |
총액 | 310,200 | 422,500원 | 547,700원 | 716,300 |
에너지 바우처 지원 금액
하절기 미사용 잔액은 동절기로 자동 이월됩니다. 2025년 5월 25일까지 사용해야합니다.
에너지바우처는 고지서에 요금이 차감되는 방식과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하는 방식으로 나뉩니다.
하절기에는 고지서에 요금이 차감되는 방식만 가능하고, 동절기에는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국민행복카드로 생리용품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매월 생리대 구매 비용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적 상황과 관계없이 모든 여성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기본적 인권과 건강권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지원 대상
- 만 9세 ~ 24세 여성청소년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지원대상자
지원 내용
신청한 달부터 지원이 이루어지고 상・하반기 나누어 6개월의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1월, 7월)
지원된 바우처는 12월 31일까지 사용가능합니다. 사용하지 못한 잔액은 1월 1일에 전액 소멸되니 만료일전까지 모두 사용하시길 권장해 드립니다.
신청 방법
3. 지역사회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각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실제 필요를 반영한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영유아부터 노인까지 생애주기별로 꼭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삶의 질을 높입니다.
수요자가 원하는 서비스와 제공기관을 직접 선택할 수 있어 진정한 의미의 맞춤형 복지를 실현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지역사회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갑니다.
지원 대상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가구가 원칙이며 지원 서비스별로 기준중위소득 기준이 상이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표에 작성해 놓았습니다.
구분 | 대상 | 기준중위소득 소득기준 |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 만 0 ~ 6세 발달지연 우려 영유아 | 140% 이하 |
아동・청소년정서 발달지원서비스 | 만 7 ~ 18세 정서행동문제 우려 아동・청소년 | 140% 이하 |
아동・청소년 심리지원서비스 | 만 18세 이하 문제행동 위험군 아동・청소년 | 160% 이하 |
노인 맞춤형 운동 서비스 | 만 65세 이상 (장기요양등급 외 판정자) | 140% 이하 |
장애인・노인을 위한 돌봄여행 서비스 | 등록장애인(또는 상이 등급자), 만 65세 이상 | 140% 이하 |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 만 24세 이하 장애 아동・청소년 | 소득기준 없음 |
시각장애인 안마 서비스 | 근골격계・신경계・순환계 질환이 있는 만 60세 이상 지체・뇌병변 등록장애인 | 140% 이하 |
정신건강 토탈케어 서비스 | 정신장애인 또는 정신건강의학과 치료가 필요한 자 | 140% 이하 |
자살 위험군 예방서비스 | 자살위험검사에 의한 자살위험군 해당자 | 140% 이하 |
아동・청소년 비전형성 지원 서비스 | 만 7 ~ 15세 | 140% 이하 |
장애인・산모 등 건강취약계층 운동 서비스 | 장애인, 산모(임신 3개월 이상) | 140% 이하 |
비만아동 건강관리 서비스 | 만 5 ~ 12세 경도 이상 비만 아동 | 소득기준 없음 |
성인 심리지원서비스 | 만 35세 이상 진단서・소견서를 제출한 자 | 140% 이하 |
보완대체의사소통기기 활용 중재서비스 | 만 24세 미만 지적・뇌병변・자폐성 장애인 | 170% 이하 |
지역사회서비스 소득기준
지원 내용
- 가구여건, 소득수준에 따라 정부지원금 차등지원
사업별로 최소 10%이상 본인부담금을 책정하며, 소득수준에 따라 서비스가격이 10 ~ 40%로 차이가 발생됩니다.
신청 방법
매월 27일까지 신청한 이용자는 다음달 1일부터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신청 가능한 서비스 및 제공기관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에서 확인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 사용처
국민행복카드는 가맹점에서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로 이용 가능한 가맹점은 국가바우처 사업별로 상이합니다.
서비스 | 사용처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 > [정보마당] > [제공기관 정보공개]에서 지역별 확인 가능 |
가사・간병 방문지원 |
지역사회 서비스 |
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
발달재활 서비스 |
언어발달 지원 |
발달장애인 부모상담 |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
청소년 발달장애학생 발과후활동서비스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 1. 임산부의 진료비 및 약제 치료재료 구입비용 2. 2세 미만 영유아의 진료비 및 처방된 약재 치료재료 구입에 대한 본인부담금 |
첫만남이용권 | 제외업종(유흥업소, 사행업종, 위생업종, 레저업종, 성인용품, 상품권, 면세점, 세금 및 공과금 납부) 이외 사용 가능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 요양기관(병원, 의원, 치과, 한방병원, 한의원, 약국 등) 진료비 및 처방된 약재 치료재료 구입에 대한 본인부담금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카드사별로 상이 (표 아래 참조) |
보육료 지원 | 국공립어린이집, 사회복지법인어린이집, 법인・단체 등 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협동어린이집 |
유아학비 지원 |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어린이집 |
아이돌봄 서비스 | 아이돌봄 서비스 제공기관 참조 |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 카드사별로 상이 (표 아래 참조) |
에너지 바우처 | 에너지 구매처 |
국민행복카드 서비스별 사용처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의 사용처는 카드사별 상이합니다.
카드사 |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 사용처 |
BC카드 | 지마켓, 옥션, 먼쓸리씽(앱), 우체국쇼핑몰, 페이북쇼핑,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노브랜드, PK마켓,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나들가게 |
삼성카드 | 삼성카드쇼핑몰, 국민행복몰,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노브랜드,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부츠(boots), PK마켓 |
롯데카드 | 롯데올마이쇼핑몰, 롯데마트, 롯데빅마켓,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
KB국민카드 | 국민행복몰, GS25편의점 |
신한카드 | 국민행복몰, GS25편의점 |
기저귀 조제분유 바우처 사용처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의 사용처는 카드사별 상이합니다.
카드사 | 기저귀・조제분유 바우처 사용처 |
BC카드 | 지마켓, 옥션, 먼쓸리씽(앱), 우리WON마켓, 국민행복몰,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농협하나로마트, CU편의점,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노브랜드, PK마켓, 부츠(boots) |
삼성카드 | 삼성카드쇼핑몰, 국민행복몰,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이마트, 이마트트레이더스, 농협하나로마트, CU편의점,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노브랜드, 부츠(boots), PK마켓 |
롯데카드 | 올마이쇼핑몰,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농협하나로마트, CU편의점, GS25편의점, GS더프레시, 롯데마트, VIC마켓 |
KB국민카드 | KB국카몰, 국민행복몰, GS25편의점, CU편의점 |
신한카드 | 신한카드 올댓쇼핑, 국민행복몰, GS25편의점, CU편의점 |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 사용처
국민행복카드 잔액조회
국민행복카드 잔액은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 잔액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회전자서비스 전자바우처에 나와있는 국가바우처의 경우, 사회복지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에서 국민행복카드 잔액조회 가능합니다.
사회전자서비스 전자바우처
다자녀 등 여러 바우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전화로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일부 바우처는 전용 포털이나 해당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의 임신・출산바우처의 경우, 건강보험공단에서도 조회가능합니다.
- 홈페이지 : [The건강보험 홈페이지] > [민원여기요] > [개인민원] > [보험급여] > [임신/출산 진료비] > [임신・출산 진료비 잔액확인]
- 모바일 : [The건강보험 앱] > [민원여기요] > [임신・출산 진료비] > [진료비 잔액조회]
그외 방법으로는 발급받으신 카드사로 문의하시면 확인 가능합니다. 국민행복카드 전용 고객상담 번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 BC카드 1899 – 4651
- 롯데카드 1899 – 4282
- 삼성카드 1566 – 3336
- 신한카드 1544 – 8868
- KB국민카드 1599 – 7900
국민행복카드 비교 혜택
국민행복카드를 발급할 때 베베폼, 미즈톡톡, 베팡 사이트에서 신청하시는게 좋습니다.
카드사에 직접 신청하게 된다면 혜택이 적은데 해당 사이트를 통해서 신청하게 된다면 페이백뿐만 아니라 사은품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전 주의사항
① 최근 6개월 내 해당 카드사 이용 실적 없어야합니다.
② 베베폼, 미즈톡톡, 베팡 사이트 중 1곳에서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③ 카드사별 혜택이 상이합니다.
위 주의사항을 염두해두고 나에게 가장 혜택이 많은 카드사로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베베폼, 미즈톡톡, 베팡 국민행복카드 발급 혜택 비교
카드사 | 베베폼 | 미즈톡톡 | 베팡 |
롯데카드 | 50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3만원 캐시백 추가 이벤트 | 없음 | 53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삼성카드 | 50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72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추가 사은품 제공 | 53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신한카드 | 50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73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추가 사은품 제공 | 53개 사은품 중 택1(12만원 상당) |
BC카드(IBK기업은행) | 50개 사은품 중 택1(15만원 상당) | 72개 사은품 중 택1(15만원 상당) * 추가 사은품 제공 | 없음 |
KB국민카드 | 50개 사은품 중 택1(11만원 상당) | 71개 사은품 중 택1(11만원 상당) | 없음 |
카드사별 국민행복카드 발급 혜택
국민행복카드 발급 혜택이 있는 베베폼, 미즈톡톡, 베팡의 내용을 확인한 결과, 베팡이 가장 적은 혜택이 있었습니다. 베베폼이나 미즈톡톡에서 발급 받으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카드사에 따라 발급이력(보통 6개월)이 없는 경우에 혜택을 받아볼 수 있으나 과거 이벤트 혜택(1년)을 받지 않는 것도 포함되는 카드사가 있으니 자세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현금,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신세계 상품권 등 현금성 사은품이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마무리
국민행복카드는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한 카드로, 서비스별 사용처와 결제방식이 다르므로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민행복카드 하나로 모든 복지서비스를 더욱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단순한 복지카드를 넘어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입니다.
임신출산부터 영유아 돌봄, 장애인 지원까지 다양한 국가바우처를 하나의 카드로 이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지원 대상과 금액이 확대되어 다 많은 국민의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의 경우, 다태아 추가 지원이 신설되었고, 발달재활서비스는 미등록 장애아동의 지원 연령이 만 6세에서 만 9세로 확대되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는 복지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이용의 편의성을 증진시켜, 모든 국민이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소중한 동반자가 될 것입니다.
본인에게 해당하는 지원 사업을 꼼꼼히 확인하여 필요한 혜택을 놓치지 마시고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